본문 바로가기
기업 소개

와이즈넛 AI 기술력과 주가 변동성의 교차로

by 리치맨29 2025. 5. 19.

와이즈넛

2025년 1월 24일 코스닥에 상장한 와이즈넛은 AI 기반 검색·챗봇 솔루션 전문기업으로, 상장 후 공모가 대비 20% 하락이라는 초기 부진을 기록했으나 향후 성장 가능성에 대한 논쟁이 뜨겁습니다. 2000년 설립 이래 24년간 축적된 자연어처리 기술을 바탕으로 국내 5,500여 고객사와 글로벌 10개국 시장을 공략 중인 이 회사의 투자 매력도를 다각도로 분석합니다.

상장 전 기대요인

1. 검색증강생성 기술 선두주자
와이즈넛은 2023년 12월 국내 최초 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적용한 'WISE iRAG'를 출시하며 생성형 AI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했습니다. 이 솔루션은 자체 구축형 지식베이스, 다중 문서 형식 지원, 실시간 데이터 연동 기능을 통해 정확도 92%를 달성하며 삼성전자·현대자동차 등에 도입되었습니다.

2. 13년 연속 흑자 기업의 재무 안정성
2023년 기준 매출 351억 원(전년비 +2%), 영업이익 34억 원(+12%)을 기록하며 AI 스타트업 중 드문 수익성 모델을 입증했습니다. 특히 클라우드 기반 SaaS 매출이 전체의 38%를 차지하며 재발주율 87%의 고객 충성도를 보였습니다.

 

변동 원인 심층 분석

초기 하락 요인
2024년 연결 영업이익 17억 원(-50.7%)으로 실적 악화
기관투자자들의 대규모 록업해제(상장주식 33.8%)

4월 급등 동력
2025년 1분기 RAG 관련 매출 91억 원
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 AI R&D 지원금 120억 원 확정

 

미래 비전

3대 핵심 전략
기술 고도화: 2026년까지 멀티모달 AI 엔진 개발에 300억 원 투자
해외 시장 확대: 2025년 3분기 미주 법인 설립 및 현지 파트너십 구축
생태계 구축: 자사 플랫폼에 3rd파티 개발자 유치를 위한 API 오픈 계획

 

정대리의 의견

와이즈넛은 국내 AI 검색·챗봇 시장에서 23.7% 점유율(2024년 기준)로 선두를 달리지만, 글로벌 경쟁 구도에서는 아직 도전자 위치입니다. 단기적으로는 높은 밸류에이션 리스크가 존재하나, RAG 기술의 시장 수용도 확대와 해외 진출 성과가 주가 회복의 열쇠가 될 것입니다. 투자자들은 분기별 R&D 투자 효율과 해외 수주 실적을 집중 모니터링해야 합니다.

 

세 줄 요약

1. 상장 후 20% 초기 하락 - 2024년 실적 악화와 고평가 논란 영향이지만 RAG 기술력으로 130% 회복
2. 변동성 촉발 요인 - 글로벌 AI 경쟁 심화 vs 정부 지원 확대의 상반된 영향력 각축
3. 성장 잠재력 - 2027년 매출 1,250억 원 목표 아래 기술 고도화와 미주 시장 공략으로 AI 생태계 리더 도전

댓글